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경기도 재난 기본소득 총정리 해 드립니다 #오프라인 선불카드 잔액 확인

by 만물 상인 2020. 4. 26.
반응형

오늘은 4월 9일부터 신청할 수 있는 경기도 재난 기본소득에 대해서 

총정리 해 보겠습니다.

 

1. 지급대상

현재 경기도민이라고 해서 모두가 지급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기준일이 있는데요.

2020년 3월 23일 월요일 24시를 기준으로,

그 이전부터 신청일까지 경기도로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내국인으로 한정됩니다.

다만, 기준일 당시 태아였는데, 신청일 현재 출생하였다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2. 지급액

1인당 지급액은 10만원 입니다.

소득이나 이런 것과 무관하게 무조건 10만원을 지급하게 되어있어서,

이 부분은 매우 심플하네요.

 

3. 신청방법 (온라인 VS 오프라인)

신청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신청 2가지로 나누어 지는데요.

각각 비교해 보시면서, 본인의 상황에 맞추어 신청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3-1. 온라인 신청 

A. 경기지역화폐카드 도는 신용카드 소지자 가능

경기지역 화폐카드 소지자 또는 신용카드 소지자의 경우 신청해서 본인카드로 사용가능한데요.

사용가능 카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신용카드의 경우는 국내 대부분의 카드사가 신청가능하구요.

 

경기지역 화폐카드를 가지고 있지 않으신분들도,

경기지역화폐 앱에서 카드를 신청할 수 있으므로,

앱을 다운로드 받아서 가입하고, 카드를 신청해서 받은 이후 온라인 신청기간내에 

신청하는 것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다만 김포, 시흥, 성남의 경우

착한페이 같은 다른이름의 지역화폐 앱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용 및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경기지역화폐와 호환이 않되어서 신청이 않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들 지역에서는 신용카드로 신청해야 할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는 경기지역화폐카드 신청하는 방법이 편할 것 같은데요.

최근에 저같은 분들이 많으셔서인지,

신청자가 많아져서 배송이 밀리고 있다고 하니,

신청가능일 안에 배송받을 수 있는지 먼저 확인하여야 합니다.

 

 

B. 신청 가능 카드

경기지역화폐 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농협카드, 신한카드, 국민카드, 

삼성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비씨카드,

기업은행 카드, SC제일은행 카드, 수협은행 카드, 한국씨티은행 카드

회사들의 신용카드가 신청이 가능한 카드이구요.

 

한가지 특이한 점은 카드사 신용카드로 신청하면,

책정된 재난 기본소득만큼 신용카드 청구액이 차감되는 방식인데요.

카드사마다, 실적 적용 및 결제 금액에 대한 포인트 적립 및 할인에 대한 정책이 제각각 입니다.

신용카드를 이용하신다면, 확인하여서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예를 들면, 제가 가지고 있는 국민, 하나, 우리 카드의 경우,

모두 카드 실적에는 반영이 되구요. 

 

또한 이번 기본소득 오프라인 신청도 받고 있는 농협의 신용카드도 모두 실적과 적립 다 되는 것으로 확인했구요.

 

C. 신청기간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신청기간이 조금 다른데요.

온라인이 4월 9일부터 ~ 4월 30일로 신청기간도 더 빠르면서,

대신 4월 30일로 신청마감기간도 짧네요.

 

D. 신청방법

카드번호 입력 및 핸드폰 본인 인증을 통해서 신청 가능하구요.

신청일을 기준으로 동일 세대원인 미성년 직계비속에 한하여 대리 신청이 가능

 

추가적으로, 각 지자체에서 추가적으로 지급하는 재난기본소득의 경우도,

용인, 성남, 부천, 화성, 평택, 시흥, 의정부, 김포, 광명, 하남, 양주, 이천, 안성, 의왕, 양평, 여주, 동두천, 과천

의 18개 지역의 경우에 해당하면, 같이 한번에 신청가능합니다.

(수원, 고양, 안산, 안양, 파주, 광주, 군포, 오산, 포천, 가평, 연천, 구리 는 제외 됨)

 

온라인 신청은 4월 9일 15시 부터 신청이 가능하구요.

>> https://basicincome.gg.go.kr/ 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3-2. 오프라인 신청

A. 주소지 행정복지센터 또는 농협은행 방문 신청

경기도 소재의 주소지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하거나,

농협은행으로 방문하여 신청가능한데요.

(농협은행으로 명시하는 것으로 봐서, 농협중앙회로 한정되는 것 같습니다.)

 

B. 신청지 신분증 필수

신청시에는 신분증을 반드시 가져가야 하구요.

신청서(개인정보제공동의 및 위임 확인) 작성대리신청은 배우자 나 직계존비속만 해당합니다.

(부모님이나 자식에 대해서만 가능한 것 이지요.)

위임은 사전에 구두로 받고 신청서 위임란에 확인하면 되어서,

크게 어렵지는 않은 것 같아요.

 

C. 신청기간

위에서 온라인의 신청기간이 4월 한달로 제한되어 있었는데요.

오프라인 신청의 경우 신청기간이 상당히 긴 편입니다.

4월 20일 ~ 7월 31일 까지 이기 때문이지요.

 

한가지 주의할 점은, 

아래와 같이 생년끝자리 번호 그리고 세대원 수 에 따라서 신청할 수 있는 기간과 요일이 다르니,

특히 세대원 수에 경우는 지나치게 되는데요.

첫번째 주에는 4인이상 가구, 두번째 주에는 3인가구 이런식으로 되어있으니, 반드시 확인해 주셔야 합니다.

생년월일의 경우 마스크5부제 처럼 운영되는데요.

마스크와 같이 주말에는 생년에 따른 조건 상관없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때도, 세대원수 제한은 존재하니 주말이라도, 4인이상가구에 해당하는 주는 4인이상 가구만 신청할 수 있어요.)

반드시 아래 표를 참조해서 신청해야 합니다.

 

5월 18일 ~7월 31일부터는 이런 제한사항 생각하지 않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맘편하게 하실분들은 5월 말쯤 신청하는 것도 방법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행정복지센터에서는

5월 17일까지는 주말에도 신청을 받을 예정이라고 하는군요.

직장인들이나 평일날 바쁘신 분들은 주말에 방문해서 신청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이 기간동안 행정복지센터 신청 시간은

평일의 경우는 9시~20시까지, 주말은 9시~18시까지 입니다.

 

 

D. 사용기간

카드사 사용 승인 문자 수신일 부터 3개월 이내로 사용가능하다고 하지만,

이것은 실제로 신청일에 따라서 다른데요.

사용마감일이 8월 31일 이기 때문입니다.

늦게 신청하셔서 7월 달에 신청하시면, 3개월 이내가 아니라,

무조건 8월 31일 안에 사용해야 합니다.

 

E. 오프라인에서 신청후 받은 선불 카드 잔액 확인

오프라인에서 신청후 받은 농협 선불 카드의 잔액은,

농협 홈페이지나 농협카드의 앱에서 확인이 가능한데요.

NH농협카드 홈페이지에서는 카드 > 기프트카드 > 조회 > 잔액조회 에서 가능하구요.

 

NH농협카드 앱에서는,

먼저 카드 > 카드 등록/관리> 기프트 카드 로 들어가서,

카드번호와 유효기간 및 카드 고유확인번호인 CVC3자리 번호를 보고 입력해 주면,

조회 버튼이 활성화 되는데요.

이 버튼을 클릭해 주면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콜센터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요.

1644-5330 전화 후에, 서비스코드 "1"로 들어간 다음,

카드번호와 유효기간(08월 20년)을 입력후에,

CVC 3자리 값을 넣고 조회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아무래도, 앱을 사용하는 것이 여러모로 편할 것 같네요.

사용후 잔액 확인도 훨씬 편하고 말이지요.

 

4. 사용가능 장소

주민등록이 된 시군별 지역화폐 사용처(연매출 10억 이하 업소)에서만 사용 가능 합니다.

즉, 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유흥 및 사행 업소,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에서는 사용할 수 가 없습니다.

 

4-1. 사용가능장소 확인

가장 먼저 현재 내가 거주하고 있는 시에 해당하는지 확인해야 하구요.

다음으로는 지역화폐 가맹점인지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백화점, 대형마트, SSM(이마트 에브리데이 등), 복합쇼핑몰, 유흥업소 및 사행업소를 제외하고,

매출액 10억이하인 업소가 해당되는데요.

 

경기지역화폐 가맹점 사이트에서 검색을 해 보는 것이 맞은 것 같지만,

실제로 사이트에서 검색해보면 너무 적은 수의 가맹점만 나와서,

제가 사는 곳 근처의 지역화폐 가능업소가 다 나와있지는 않더라구요.

 

현재로서 가장 확실한 방법중 하나는,

가계에서 직접 물어보는 방법과 

입구에 지역화폐가맹점이라는 표시가 있는 곳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4-2. 사용가능장소 예시

편의점의 경우는 본사직영이 아닌 가맹편의점의 경우,

점주에 따라서 가입하셔서 사용가능한 경우가 있는데요.

저의 동네 아파트 GS25편의점에서도 

경기지역화폐 카드결제가 가능하다고 하시더라구요.

 

커피숍도 스타벅스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커피숍에서 가능하기는 하지만,

가맹점마다 사용가능여부가 다르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음식점, 학원 및 옷가게 등 자영업자 분들이 계시면서,

신용카드 IC카드 결제가 되는 곳은 거의 가능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가장 괜찮은 사용처 중 하나가,

바로 주유소인데요.

사용가능여부에 대해서 미리 알아보고 가는 것이 좋습니다.

아니면, 소액만 주유해서 결재해보는 것도 방법이구요.

 

사용이 않되는 곳중 저희가 알 만한 곳으로는,

이마트나 홈플러스 같은 대형 마트나,

다이소, Vips, 아웃백 같은 대형 체인점 들이 있구요.

 

온라인 결재의 경우는 업체가 경기도에 있어도 모두 해당 되지 않습니다.

배달의 민족이나 요기요 같은 배달앱을 통한 주문의 경우도 온라인결재에 해당하여서,

사용가능하지 않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5. 주의할 점

선불카드는 5인 가구, 50만원까지 충전이 가능한데요.

드물기는 하겠지만, 6인 이상 가구의 경우는 2장으로 나누어 발급받아야 합니다.

 

위에서도 언급하였지만, 오프라인으로 신청한 선불카드의 경우,

사용마감일이 8월 31이므로, 늦게 신청하셔서 수령하신 분의 경우는,

반드시 마감일에 유의하여야 하구요.

 

사용처가 위에서 정리한 사용가능장소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아무생각없이 사용하면 본인돈이 사용되어 되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이상으로 경기도 재난 기본소득의 신청 및 사용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는데요.

좀 더 좋은 정보가 있으면 이 글을 통해서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