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를 시작하고, 애드센스 승인을 얻고나서,
드디어 애드센스로부터 송금을 받을때가 오게되면,
고민되는 것이 하나 있는데요.
바로, 외화송금 수수료 입니다.
외화 송금 수수료가 은행마다 다 제각각이고,
정보도 은행사이트에서 쉽게 찾기가 어렵기 때문인데요.
1. 외화 송금 비교사이트
네이버와 구글 검색을 하다보면,
각각의 은행의 송금 수수료를 모아놓은 사이트들을 보고 싶어지는 데요.
마침 그런 사이트가 있습니다.
은행연합회[http://www.kfb.or.kr/]의 사이트인데요.
은행업무정보 > 은행수수료 비교 > 외환수수료 및 스프레드 메뉴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해당사이트를 클릭해보시면 아래와 같은 정보를 볼 수 있는데요.
2. 수수료가 좋은 은행들 정리
2-1. 스탠다드차타드 은행(SC은행)
먼저 위에 표에는 아쉽게도 누락되어, 나와있지 않으나,
최고는 아직도 SC제일은행 있니다.
300불 미만에 대해서는 수수료가 없기 때문인데요.
이 부분은, SC은행 통장을 만들때,
은행의 직원중 외환에 대해 잘모르는 경우, 아니라고 하시는 분도 있었지만,
제가 직접 300불 미만을 받아보니 수수료가 없었습니다.
만약 블로그 수입이 월 300불 미만이라고 한다면,
SC제일은행이 아직도 우위에 있습니다.
하지만, 300불 이상부터는 10,000원이 되므로
수입이 늘어날 것 같다면, 밑에 글을 더 읽어 보아야 하겠습니다.
2-2. 우체국, 우리은행(인터넷 처리), 신한은행(인터넷 처리), 하나은행 그리고 카카오 뱅크
먼저 최근에 생긴, 카카오 뱅크가 눈에 띄는데요.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5,000원 입니다.
그런데 단점이 있습니다.
카카오 뱅크에는 외환통장이 없다는 점인데요.
환율이 유리할 때, 환전할 수 없으므로,
외환통장이 생기기 전에는 환율에 의한 손해가 약간 발생할 수 있어서,
외환통장 생길때까지 기다려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으로는 우체국인데요.
마찬가지로, 5,000원의 수수료를 자랑합니다.
그런데, 역시 외화통장이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카카오랑 비슷하네요.
하나은행의 경우,
5,000불이하의 외화는 5,000원 수수료를 책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5,000불 이상은 역시 10,000이네요.
그런데, 블로그 수입으로 월5,000달러를 찍으려면 매우 어려울 것 같은데요.
하나은행도 괜찮은 대안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마지막으로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을 들 수 있는데요.
둘다 기본적으로는 10,000원의 수수료이지만,
인터넷을 통해서 받을외화송금 입금처리를 하면, 5,000원으로 줄어든다고 합니다.
3. 주요은행 SWIFT CODE
마음을 정하셨다면, 이제 외환통장을 만드시고,
애드센스에서 설정 > 지급에서,
SWIFT CODE,은행명, 계좌번호를 입력해 주셔야 하는데요,
위에서 언급한 주요 은행들의 SWIFT CODE와 은행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은행명 |
SWIFT CODE | 영문이름 |
스탠다드 차타드 은행 | SCBLKRSE | STANDARD CHARTERED FIRST BANK KOREA |
우리은행 | HVBKKRSEXXX |
WOORI BANK |
신한은행 | SHBKKRSE | SHIN HAN BANK |
하나은행 | HNBNKRSE |
HANA BANK |
우체국 | SHBKKRSEKPO |
KOREA POST OFFICE |
4. 정리
수입이 많지 않고(?), 월300달러 미만이라고 한다면,
스탠다드 차타드 은행으로 해야하구요,
월5,000달러 미만의 수입이라면, 하나은행에서 5,000원의 수수료를 받는 것도 괜찮구요.
그것이 아니라면, 우리은행이나 신한은행에서 인터넷을 통해
외화송금입금처리를 할 경우, 5,000원으로 줄어드니,
이것도 괜찮은 대안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생각없이 만원씩 수수료를 낸다면,
1년이면 12만원인데, 잘 생각해보아야 겠네요.
'블로그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드센스 미국 세금 정보 제출 # 블로그 수익 유투브 (1) | 2021.04.24 |
---|---|
애드센스 정산받아 우리은행 모바일로 외화송금 받기 (8) | 2019.07.22 |